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오픈 액세스 저널인 보존과학회지(JCS)는 출판 윤리 위원회(COPE), 오픈 액세스 저널 디렉토리(DOAJ), 오픈 액세스 학술 출판 협회(OASPA), 세계 의학 편집자 협회(WAME)가 개발한 학술 출판의 투명성 및 모범 사례 원칙(https://doaj.org/bestpractice)을 따른다.
공식 저널 웹사이트는 http://journal.conservation.or.kr이다. JCS 웹사이트는 윤리적이고 전문적인 기준을 충실히 반영하여 제작되어 있으며, 타 저널 또는 출판사의 웹사이트를 모방하려는 시도나 오해의 소지가 있는 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공식 저널명은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이며, ISO 약어는 J. Conserv. Sci.이다.
JCS는 온라인 논문 투고 및 심사 시스템(http://submission.conservation.or.kr)을 통해 논문을 접수·관리한다. 편집장이 초청한 원고를 포함하여 투고된 모든 논문은 심사 대상이 된다. 먼저 형식과 저널의 목적 및 범위에 부합하는지 검토되며, 부적합한 경우 접수 후 즉시 반려될 수 있다. 모든 원고는 심사 전 표절 방지 도구인 Similarity Check powered by iThenticate (https://www.crossref.org/services/similarity-check/)를 통해 표절 여부가 점검된다.
본 학술지는 (사)한국문화유산보존과학회(http://www.conservation.or.kr)가 소유하고 관리하는 학술지이다.
운영 조직은 저널의 편집위원회이다.
저널 편집자와 저널 운영팀 구성원의 성명과 소속은 저널 홈페이지의 '편집위원회 소개' 탭에 표시되며, 편집자와 편집팀의 연락처는 '연락처 및 위치' 탭에 있다.
게재되는 모든 논문의 저작권은 (사)한국문화유산보존과학회에 귀속되며, 저자는 투고 시 저작권 양도에 동의해야 한다.
JCS는 오픈 액세스(open access) 저널로, 모든 논문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상업적 라이선스(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에 따라 배포되며, 원저작물을 적절하게 인용하는 경우 모든 매체에서 제한 없이 사용, 배포 및 복제가 허용된다. 학술적, 교육적 목적으로 다른 저널, 도서 또는 매체에 JCS의 표나 그림을 사용하는 경우, JCS 출판사에 별도의 허가를 요청할 필요가 없다. 모든 논문은 게재와 동시에 XML 및 PDF 형식으로 즉시 전면 공개되며, 엠바고(embargo) 기간은 없다.
게재를 위해서는 논문 처리 비용이 청구된다. 논문 처리 비용 청구서는 게재 전에 주저자에게 발송된다.
보존과학회지 편집위원회는 제출된 모든 원고가 ICMJE와 COPE의 윤리 지침을 준수하는지 면밀히 검토한다. 중복 게재, 표절, 데이터 조작, 저자 변경, 공개되지 않은 이해 상충, 제출된 원고에서 발견된 윤리적 문제, 저자의 아이디어나 데이터를 도용한 심사자, 편집자에 대한 불만 등 연구 및 출판 부정행위가 의심되는 사례가 저널에 발생할 경우, COPE에서 제공하는 절차(http://publicationethics.org/resources/flowcharts)에 따라 해결 절차를 진행한다. JCS 편집위원회는 의심되는 사례를 논의하고 결정을 내리며, 필요한 경우 정정, 수정 공지, 설명, 철회 및 사과문을 게재한다.
보존과학회지는 COPE의 윤리 지침(https://publicationethics.org)과 국제 의학 저널 편집자 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f Medical Journal Editors, http://www.icmje.org/recommendations)의 권고안을 준수한다. JCS의 출판 윤리는 저널 홈페이지의 편집 규정(연구윤리 규정) 탭에 명시되어 있다.
보존과학회지는 3월 20일, 6월 20일, 9월 20일, 12월 20일에 발행된다.
보존과학회지는 오픈 액세스 저널이다. 모든 논문은 게재와 동시에 XML 및 PDF 형식의 전체 텍스트를 무료로 제공하며, 엠바고 기간은 없다.
보존과학회지 원문은 국립중앙도서관(http://www.nl.go.kr)에 보관되어 있다. Sherpa/Romeo(http://www.sherpa.ac.uk)의 보관 정책(셀프 아카이빙 정책)에 따라 저자는 심사 전 버전(pre-print, 즉 심사 전 원고)은 저장할 수 없으나, 심사 후 최종본(post-print, 즉 심사 후 최종 원고)은 저장할 수 있다. 저자는 출판된 버전(PDF)도 저장할 수 있다. 보존과학회지는 저널이 더 이상 발행되지 않게 될 경우를 대비하여 국립중앙도서관에 아카이빙함으로써 전자 백업 및 콘텐츠 접근 보존을 제공한다.
저널의 수익원은 출판사((사)한국문화유산보존과학회)의 지원과 저자 게재료이다.
보존과학회지는 정책이 변경되지 않는 한 상업용 제품 광고를 허용하지 않는다.
저널 홍보는 저널 웹사이트와 소개 팸플릿 배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논문 투고 요청은 일반적으로 저널의 목표 및 범위와 관련된 주제인 경우, 학회, 세미나 또는 워크숍 발표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submission.conservation.or.kr
conservation.or.kr